젠스파크(Genspark)란? AI 검색의 새로운 패러다임, 쉽고 빠르게 이해하기
by ESC 쌤
안녕하세요, ESC 쌤입니다.
요즘 AI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다양한 AI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ChatGPT, Claude, Perplexity, 뤼튼, Gemini 등을 적절한 상황에 맞게 사용하고 있는데, 좋은 퀄리티의 AI 서비스들이 범람하는 상황 속에서 잘 알지 못하거나 들어보았지만 다루어보지 못하는 서비스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제는 좋은 툴을 적재적소에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젠스파크(Genspark)는 기존에 좋다는 평가를 많이 들어보았지만 다루지 못해 직접 해보아야겠다고 느낀 툴인데요, 기존 검색 엔진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찾아주는 AI 기반 검색 도구입니다. 저는 과학 교사이다보니 수업을 준비하거나 학생의 탐구 지도를 할 때 다양한 과학적 근거를 찾아보는 일이 많은데요, 그러다보니 정보 검색 시 출처 검증과 크로스 체크를 통해 신빙성 있는 정보를 찾아보게 됩니다. 그 중에서 가장 애용하던 툴이 Perplexity였습니다. SKT 이용자들에게 1년 동안의 무료 이용권을 줘 더욱 애용하고 있었는데요. 젠스파크가 제가 애용하는 AI들을 아우르며 통합시킨 정보를 출력해준다는 이야기를 듣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잠깐 설명을 시작하기에 앞서, Genspark는 기본적으로 유료 요금제로 운영됩니다. 현 시점으로 월 20달러를 받고 있으니 ChatGPT와 동일한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지금은 이벤트로 처음 가입 시, 초대 링크를 통해 가입을 하면 1개월 무료 Plus 이용권을 가지고 시작한다고 합니다. 혹시 Genspark에 가입하지 않은 분이시라면 아래 링크를 이용해 접속하셔서 가입을 하시면 유료 요금제로 시작할 수 있으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아래 링크를 이용해 접속 후 Genspark에 등록 및 로그인한 후, 전화번호를 연결해 가입하면 무료 멤버십이 활성화됩니다. (해당 경로로 가입시 저에게도 멤버십 혜택이 주어집니다, 감사합니다. ^^)
이제부터 이 글에서는 Genspark가 무엇인지, 기존의 AI들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Genspark란? 기존 검색과 뭐가 다를까?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 포털은 네이버와 구글입니다. 그러다보니 질이 떨어지는 콘텐츠들이 양산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거르기 위한 검색 포털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콘텐츠 제공자(블로거 등)가 생산하는 정보 자체가 질이 떨어진다면 한계가 있다보니 창과 방패의 싸움으로 이어지고 있음에도 검색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불쾌한 콘텐츠를 마주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러한 면에서 Genspark는 단순한 검색 엔진이 아니라, AI가 직접 맞춤형 정보를 생성해서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즉, 다른 생성형 AI와 다르게, 검색 엔진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툴이라고 생각됩니다.
✔ 기존 검색 엔진 (예: 구글, 네이버) |
|
✔ Genspark (차세대 AI 검색 엔진) |
|
즉, 기존의 검색 엔진은 '어디 가서 정보를 찾으세요!'라고 가이드를 주는 방식이라면, Genspark는 '이거 보세요! 당신이 원하는 정보입니다!'라고 직접 제공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Genspark의 핵심 기능
스파크페이지 (Sparkpage)
Genspark는 사용자의 질문을 이해하고,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리하여 하나의 페이지로 생성합니다.
-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여러 사이트를 방문할 필요 없음
- AI가 여러 소스를 분석하고 광고 없이 정리된 정보 제공
다중 AI 에이전트 (Multi-Agent AI)
Genspark는 하나의 AI만이 아니라, 여러 AI가 협력하여 답변을 생성합니다.
- 복잡한 질문에도 여러 가지 관점에서 정보를 제공
- 객관적이고 정확한 답변을 받을 가능성이 높음
맞춤형 AI 검색 (AI-Powered Search)
- 기존 검색 엔진처럼 키워드 중심 검색이 아니라, 자연어 질문도 이해
- 예를 들어 "다이어트에 좋은 음식은?"이라고 검색하면, AI가 관련 정보들을 종합해서 한 번에 보기 쉽게 정리된 페이지 제공
다른 AI들과의 차이점
Genspark는 ChatGPT, Claude, Gemini 등과 비교했을 때 정보 제공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AI 서비스별 주요 특징 및 정보 제공 방식을 찾아 정리해보았는데요, 아래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Genspark vs. ChatGPT
🔹 ChatGPT?
Chat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대화형 AI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여 자연스러운 대화를 생성하는 AI입니다. 최대 128만 개의 토큰을 다룰 수 있는 넓은 컨텍스트 창 덕분에 긴 대화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빠른 처리 속도를 갖추고 있으며, 주제별 대화, 코드 작성, 데이터 분석, 시각적 콘텐츠 생성(DALL·E 3 연동)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Genspark과의 차이점
- ChatGPT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질문에 따라 답변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 Genspark는 AI가 직접 맞춤형 정보를 분석하여 페이지를 생성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 빠르고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쉽게 말하면 → ChatGPT는 대화를 통해 정보를 찾는 AI, Genspark는 필요한 정보를 정리해서 제공하는 AI입니다.
Genspark vs. Claude
🔹 Claude?
Claude는 Anthropic에서 개발한 AI로, 사용자 피드백 기반 강화 학습을 통해 높은 정확성을 자랑합니다. 특히 복잡한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코드 작성 및 기술적 질의에도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Claude는 편향 없는 답변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춰 안정적인 AI 경험을 제공합니다.
🔹 Genspark과의 차이점
- Claude는 기존 데이터 기반으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반면,
- Genspark는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쉽게 말하면 → Claude는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는 AI, Genspark는 맞춤형 페이지를 생성하여 정보를 정리하는 AI입니다.
Genspark vs. Gemini
🔹 Gemini란?
Gemini는 Google과 DeepMind가 개발한 멀티모달 AI로,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비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AI입니다. Google 생태계와 완벽하게 통합되어 Gmail, Google Docs, YouTube 등의 서비스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enspark과의 차이점
- Gemini는 다양한 멀티모달 콘텐츠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AI입니다.
- Genspark는 광고 없이 고품질의 정보를 분석하여 맞춤형 페이지를 생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쉽게 말하면 → Gemin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까지 다루는 AI, Genspark는 필요한 정보를 정리해서 보여주는 AI입니다.
Genspark가 유용한 순간
- 빠르고 정확한 정보가 필요할 때 : 검색 결과를 하나씩 보지 않고, 한 번에 정리된 정보를 원할 때
- 광고 없는 신뢰할 만한 정보를 찾고 싶을 때 : 기존 검색 엔진은 광고가 많지만, Genspark는 광고 없는 정보 제공
- 복잡한 질문을 할 때 : 예를 들어 "이전 월드컵 우승팀과 각 경기 결과" 같은 질문을 하면, Genspark는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한 페이지로 정리해 줌
결론
정리한 결과, Genspark는 단순한 검색 엔진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AI가 직접 생성해서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이 말은 곧, 기존에 사용하던 검색 엔진은 블로그나 사이트 등과 같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정보를 모아 검색 결과를 출력을 해주면서 광고를 붙이는 방식이었다면, Genspark는 검색 엔진의 방식과 같이 정보를 모으되, 다양한 정보 소스를 비교 검토하여 AI가 재정리해 검색 결과를 출력해주는 방식이라는 것입니다. 새로운 AI 검색 엔진으로서 기존 검색 엔진들의 아성을 대체하게 되는건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혹시 사용해 보신 분 계신가요? Genspark를 사용해 본 경험이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Science: 교육, 학교, 교사 > AI 에듀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점은 쉽게, 기록은 빠르게! 평가 중심 AI 코스웨어, 클리포(CLIPO) (1) | 2025.01.23 |
---|---|
생성형 AI로 교육 혁신: 투닝(Toonsquare)이 가져올 교실의 변화 (1) | 2025.01.22 |
[텅장 시리즈] 마이크와 스피커가 하나로! 마이커 프로(Micker Pro) (0) | 2025.01.21 |
즐거운 속도로 배우는 한글, 소중한글 (0) | 2025.01.20 |
AI 웹툰 제작 서비스 위툰(WeToon) (0) | 2025.01.19 |
블로그의 정보
ESC 쌤의 과학탐험실
ESC 쌤